[데일리안] 탈북자 제작 ‘영화 48M' 미 의회 최초 상영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북한민주화 작성일16-10-10 11:14 조회1,23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탈북자 제작 ‘영화 48M' 미 의회 최초 상영
유엔 인권위원회에서도 특별시사회등록 : 2012-09-20 14:51
탈북자들이 제작한 ‘영화 48M'가 19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하원 특별시사회에서 상영됐다.
미 하원 레이번빌딩에서 상·하원 의원 다수와 보좌진,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상영된 영화 48M는 삶과 죽음을 가르는 생생한 탈북 과정을 담았다.
영화 제목 48M는 국경지대인 북한 양강도와 중국의 장바이현 사이를 흐르는 압록강 폭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이 짧고도 긴 거리에서 혹은 좌절하고 혹은 새희망을 찾는 탈북자들의 사연이 소개된 것이다.
영화제작을 맡은 ㈜48M의 안혁 대표는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에서 3년간 수감생활을 했다.
안 대표는 "이 영화는 많은 탈북자들이 목숨을 걸고 탈북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잘 말해주고 있다"면서 "우리가 직접 워싱턴까지 온 이유는 처절한 삶에 대해 하소연하지 못하는 탈북자들의 외침을 전하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그는 "이 영화를 만들려고 지난 3년간 탈북자 300여명과 가족들을 인터뷰했고, 그 가운데 대표적인 사례를 모아 영화화했다"고 소개했다.
미 의회 내 대표적인 지한파인 에드 로이스 하원의원(캘리포니아)은 직접 행사장에 나와 탈북 영화의 의미를 설명하고 자신이 지난해 4월 발의한 탈북 고아 입양법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시사회장에는 또 2007년 일본의 거센 반대로비에도 불구하고 미 의회에서 '위안부 결의안' 채택에 앞장선 고 톰 랜토스 의원의 부인인 아네트 랜토스씨의 모습도 보였다.
최초로 탈북자들이 직접 만든 영화 48M 특별시사회는 지난 13일 스위스 제네바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각국 대사와 인권위원회 대표, 비정부기구(NGO) 관계자들을 대상으로도 열렸다. 이번에 미국 의회에서 영화가 상영되기까지 북한인권운동가이자 ‘디펜스포럼재단’ 대표인 수잔 숄티 여사의 도움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안 대표 등 주최측은 시사회에 앞서 미국 하원에서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 위원장인 프랭크 울프 의원이 주최한 청문회에 참석해 북한의 실상과 탈북자들의 탈북과정 및 실태 등에 대해 증언했다.
1998년 탈북했다가 중국 공안에 체포돼 북송된 뒤 60일간 잔혹한 고문해 시달렸다는 박광일 북한민주화청년학생포럼 대표는 증언에서 "북한 주민들에게, 탈북자들에게 자유를 찾아주기를 진정으로 호소한다"고 말했다.[데일리안 = 스팟뉴스팀]
링크 : http://www.dailian.co.kr/news/view/307126
미 하원 레이번빌딩에서 상·하원 의원 다수와 보좌진,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상영된 영화 48M는 삶과 죽음을 가르는 생생한 탈북 과정을 담았다.
영화 제목 48M는 국경지대인 북한 양강도와 중국의 장바이현 사이를 흐르는 압록강 폭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이 짧고도 긴 거리에서 혹은 좌절하고 혹은 새희망을 찾는 탈북자들의 사연이 소개된 것이다.
영화제작을 맡은 ㈜48M의 안혁 대표는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에서 3년간 수감생활을 했다.
안 대표는 "이 영화는 많은 탈북자들이 목숨을 걸고 탈북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잘 말해주고 있다"면서 "우리가 직접 워싱턴까지 온 이유는 처절한 삶에 대해 하소연하지 못하는 탈북자들의 외침을 전하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그는 "이 영화를 만들려고 지난 3년간 탈북자 300여명과 가족들을 인터뷰했고, 그 가운데 대표적인 사례를 모아 영화화했다"고 소개했다.
미 의회 내 대표적인 지한파인 에드 로이스 하원의원(캘리포니아)은 직접 행사장에 나와 탈북 영화의 의미를 설명하고 자신이 지난해 4월 발의한 탈북 고아 입양법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시사회장에는 또 2007년 일본의 거센 반대로비에도 불구하고 미 의회에서 '위안부 결의안' 채택에 앞장선 고 톰 랜토스 의원의 부인인 아네트 랜토스씨의 모습도 보였다.
최초로 탈북자들이 직접 만든 영화 48M 특별시사회는 지난 13일 스위스 제네바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각국 대사와 인권위원회 대표, 비정부기구(NGO) 관계자들을 대상으로도 열렸다. 이번에 미국 의회에서 영화가 상영되기까지 북한인권운동가이자 ‘디펜스포럼재단’ 대표인 수잔 숄티 여사의 도움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안 대표 등 주최측은 시사회에 앞서 미국 하원에서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 위원장인 프랭크 울프 의원이 주최한 청문회에 참석해 북한의 실상과 탈북자들의 탈북과정 및 실태 등에 대해 증언했다.
1998년 탈북했다가 중국 공안에 체포돼 북송된 뒤 60일간 잔혹한 고문해 시달렸다는 박광일 북한민주화청년학생포럼 대표는 증언에서 "북한 주민들에게, 탈북자들에게 자유를 찾아주기를 진정으로 호소한다"고 말했다.[데일리안 = 스팟뉴스팀]
링크 : http://www.dailian.co.kr/news/view/3071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